오늘 다룰 주제는 광고 저품질입니다.
저품질이 발생 할 경우 제 경험상 뜬 이후 예산분배를 아예 안하거나
CPM이 높아져 효율이 떨어질 수도 있습니다.
저품질은 대부분 텍스트 비율 때문에 이루어지는데
텍스트 비율이 중요한 이유는 현재의 트렌드와 관련이 있습니다.
모바일 유저가 많은 현재, 모바일 유저들은 텍스트가 많은 광고에 대한 반응이 다소 좋지 않습니다. (효율이 낮음)
하여 텍스트 비율이 높다고 인지될 경우, 광고의 효율이 낮거나 광고가 노출이 아예 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페이스북 인공지능이 저품질을 측정하는 기준
" 광고 내에서 측정하는 기준 "
1. 광고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비율이 20%가 넘어갈 경우
2. 의도적인 정보 제공 보류(낚시성 컨텐트)
3. 자극적인 표현(헤드라인이 과장되거나 랜딩페이지를 클릭했을 때 소비자가 예기치 못한 경험을 겪게하는 경우)
4. 낚시성 참여 유도(제휴마케팅 시 특히 조심)
" 다음은 랜딩 페이지 내에서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
1. 주제에 부합하는 중요한 컨텐츠가 없을 경우
2. 컨텐츠에 비해 너무 많은 광고를 게재할 경우(팝업 광고 or 삽입 광고)
3. 컨텐츠가 여러 페이지에 걸처 분산되어 있어 사용자가 여러 페이지를 클릭하거나 로딩해야 하는 경우
4. 오해에 소지가 있는 경우(광고와 관련없는 제품의 랜딩페이지, 고객 리뷰)
" 마지막으로 소비자 점수로 저품질을 측정하는 기준입니다. "
1. 광고 숨기기
2. 이 광고주의 광고 모두 숨기기
3. 반복에 의한 광고 숨기기
4. 광고 신고하기
5. 랜딩 페이지 사이트 이탈률(픽셀이 로딩될 때까지)
6. 랜딩 페이지 체류 시간
이점 유의해서 광고 진행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스북 광고 승인 빨리 받는 방법! (0) | 2020.04.14 |
---|---|
페이스북 광고 CPM 낮추는 방법! (0) | 2019.11.12 |
페이스북 검토중, 데이터 수집 중, 초기 머신러닝 완료의 정의 (0) | 2019.10.19 |
페이스북 광고 소재가 여러가지 있을때 효율적으로 세팅하는 방법 (0) | 2019.10.17 |
페이스북으로 월 1천만원을 벌다 - 페이스북 유저들의 성향은 다 다르다! (0) | 2019.10.17 |